본문 바로가기

우리 옛글

자식에게 일러주는 네 가지 덕(德)

자식에게 일러주는 네 가지 덕(德)


謙者德之基 / 勤者事之幹 / 詳者政之要 / 靜者心之體

겸자덕지기 / 근자사지간 / 상자정지요 / 정자심지체

 

겸손함은 덕의 기초이고,    부지런함은 일의 근본이고

세밀함은 다스림의 요체이고,   고요함은 마음의 본체이다

 

- 최석정(崔錫鼎), 〈시아사덕잠(示兒四德箴)〉,《명곡집(明谷集)》

 

해설

 

이 글은 조선 후기 학자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이 

‘자식에게 일러주는 네 가지 덕에 관한 잠[示兒四德箴]’을 짓고

그 아래에 풀어 쓴 글 중에 있는 내용입니다.


저자는 슬하에 아들 하나와 딸 둘을 두었는데, 곤륜(昆侖) 최창대

(崔昌大, 1669~1720)가 그의 아들입니다.


  저자는 자식에게 ‘교만하면 덕을 해치니 교만해서는 안 된다.

게으르면 일을 덮어두니 게을러서는 안 된다. 생각을 소홀히 하면

놓치는 게 있으니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기운이 들뜨면 지나침이

있으니 기운이 들뜨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훈계합니다.


그리고 교만함과 게으름과 소홀함과 들뜸을 다스릴 수 있는 요체로

겸손함과 부지런함과 세밀함과 고요함을 말하면서, 이 네 가지 덕을

행한 뒤에야 자신을 지키고 사물에 응접할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어떤 일을 당부하는 것은 세상의 문을 열고 들어

갈 수 있는 소중한 열쇠를 건네주는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명

곡 선생은 마음을 고요하고 겸손하게 간직하고, 일을 부지런하고 꼼

꼼하게 처리하라는 당부가 담긴 사랑의 열쇠를 자식들에게 건네주었

습니다.                                       옮긴이  하승현(한국고전번역원)

..................................................................................................


  겸손함으로 덕을 쌓고, 만사에 부지런하며, 혹 남들을 다스리는

위치에 서면 자상하게 대상을 살피고, 스스로의 마음 가짐은 고요

하게 유지하라는 당부를 스무 글자에 담아 자식에게 전한 내용입니

다.


  결코 쉽지 않은 일들로 생각됩니다. 나와 다르고 나보다 못하다

는 생각으로 슬그머니 일어나는 타인에 대한 교만, 손끝의 흥미만

을 찾아 해야할 일들은 자꾸 미루고, 가족이나 친지들 그리고 부하

직원들의 마음을 세밀하게 살피고 배려하기를 게을리 하지는 않았

는지, 고요함과는 거리가 먼 비바람이 자주 마음에 일어나지는 않

았는지....


  스스로를 돌아보기에도 바쁘니.. 서른이 넘은 자식들에게 훈계는

커녕, 같이 마음에 새겨야 할 가르침으로 다가옵니다. 아... 세상

이의 어려움이여... (미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