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비문의 내용>
1. 서문
1) 시조 추모왕... 추모왕은 북부여에서 나와 송화강을 건너 홀본(졸본)에 고구려 세움
2) 유류왕과 대주류왕의 계승... 2대 유류왕과 3대 대주류왕이 이어 나라를 발전 시킴
3) 광개토왕의 즉위와 死去... 17세 광개토대왕이 즉위하여 크게 부강하여짐.
2. 광개토대왕의 정복 사업
1) 비려(碑麗 = 거란의 일족) 정벌... 영락 5년 을미(395년)
2) 백제 정벌
(1) 토벌의 이유... 문제의 신묘년(391년) 기사가 들어 있음.
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口口口羅以爲臣民 “왜(倭)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
와 백제 口口口라 를 파(破)하여 신민으로 삼았다” 는 해석이 제일 많음.
(2) 공략한 城들... 영락 6년 병신(396년) 친히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 토벌
(3) 승리 후 개선
3) 식신(息愼 = 말갈) 정벌... 영락 8년 무술(398년)
4) 가라(加羅), 왜구 정벌과 신라 구원
(1) 영락 9년 기해년(399년)
百殘違誓 與倭和通.. “백제는 맹세를 어기고 왜와 화통하였다”
倭人滿其國境 潰破城池 以奴客爲民 歸王請命
“왜인이 국경에 가득 와서 성을 쳐부수니, 신라왕인 저는 고구려왕의 노객으로서
당신의 백성이오니 왕께 귀의하여 구원을 청합니다.” 를
“왜인이 국경에 가득 와서 성을 쳐부수고 신라왕을 자기들의 백성으로 만들었으
니 (광개토대)왕께 귀의하여 구원을 청합니다.” 로 일제 관변학자들이 해석.
(2) 영락 10년 경자년(400년)...倭滿倭潰城-->倭寇大潰城, 기존의 滿倭를 寇大로 탁본
<1981 주운대(周雲臺)탁본, 중국학자 왕건군 조사>
5) 왜구 격멸..... 영락 14년(404년) 갑진, 황해도 지방으로 올라온 “왜구(倭寇)” 격파
6) 후연(後燕) 정벌.... 영락 17년 정미(407년), 결자(缺字)가 많아, 후연 정벌이
아니라 학자에 따라 백제 정벌설, 가라 정벌설, 왜 정벌설, 백제-왜 정벌설
등으로 주장.
7) 동부여 정벌..... 영락 20년 경술(410년)
3. 수묘인연호... 묘를 지키는 가구(家口)인 연호(煙戶)의 지정
1) 배정
2) 연호 배정의 준칙
3) 능묘의 석비 (계속)
'책에서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고학적인 증거 (5) (0) | 2008.10.11 |
---|---|
광개토대왕 당시의 한반도 정세 (4) (0) | 2008.10.07 |
호태왕(好太王)을 아십니까? (2) (0) | 2008.09.25 |
광개토대왕 비문(碑文)의 해석 (1) (0) | 2008.09.02 |
봄 물에 배를 띄워 (0) | 2008.08.07 |